일요일, 공휴일 : 휴무
02-879-2119
갑작스러운 어깨 통증, '석회성 건염' 의심... 단계별 증상과 치료법은?
갑작스럽게 어깨를 움직일 수 없을 만큼 아프거나, 밤에 누워 있을 때 깊은 통증으로 잠을 설치게 된다면 '석회성 건염'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중년 이후 어깨 통증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꼽히며, 통증 강도나 시기에 따라 치료 접근이 달라지는 질환입니다.
석회성 건염은 회전근개 힘줄 내에 석회(칼슘)가 침착되며 염증과 통증을 유발하는 상태로, 비교적 자연 치유가 되기도 하지만 치료 시점을 놓치면 만성화되거나 기능 저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석회성 건염, 원인과 증상은?
석회성 건염은 어깨 관절을 구성하는 회전근개 힘줄 내에 칼슘 성분이 침착되면서 시작됩니다.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반복적인 어깨 사용, 혈액순환 장애, 퇴행성 변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질환은 크게 세 단계로 나뉩니다.
① 형성기: 석회가 천천히 형성되는 시기. 자각 증상이 거의 없거나 경미한 뻐근함이 느껴질 수 있습니다.
② 흡수기: 염증 반응이 극대화되어 극심한 통증이 발생하는 시기. 통증은 갑자기 시작되고, 밤에 누워 있을 때 더 심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③ 회복기: 석회가 체내에 흡수되면서 염증이 가라앉고 통증도 서서히 줄어드는 시기. 그러나 남아 있는 석회나 조직 손상이 회복되지 않으면 재발 가능성이 있습니다.
석회성 건염 단계별 비수술 치료 전략
① 형성기: 증상이 거의 없거나 가벼운 경우, 무리한 어깨 사용을 피하고 물리치료와 체형 교정 중심의 도수치료로 어깨 움직임을 바로잡는 것이 좋습니다.
② 흡수기: 가장 통증이 심한 시기. 신경차단술은 급성 통증을 빠르게 완화시키고, 체외충격파 치료는 석회 조직을 자극해 혈류를 증가시키고 자연 흡수를 유도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도수치료를 병행하면 염증으로 굳은 근육과 관절을 부드럽게 풀어 기능 회복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③ 회복기: 남아 있는 조직 손상 회복과 재발 방지가 핵심입니다. 프롤로 주사나 DNA 주사를 통해 손상된 힘줄 재생을 돕고, 맞춤형 운동치료와 어깨 안정화 운동을 통해 어깨 구조적 회복을 유도합니다.
대다수의 환자, 비수술 치료로 호전 가능
전체 석회성 건염 환자의 약 90% 이상은 비수술 치료만으로 충분히 회복할 수 있습니다. 다만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수술적 접근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수술이 필요한 석회성 건염 증상]
- 석회 크기가 매우 크거나 힘줄을 압박하는 경우
- 3~6개월 이상의 비수술 치료에도 통증이나 기능 제한이 지속되는 경우
- 석회로 인해 회전근개가 부분 파열된 경우
이러한 상황을 제외하면, 적절한 타이밍에 체계적인 비수술 치료만으로도 일상생활로 충분히 복귀할 수 있습니다.
석회성 건염, 충분히 회복할 수 있습니다
석회성 건염은 진행 단계에 따라 증상이 크게 달라지고, 치료 전략도 달라집니다. 특히 흡수기 통증은 매우 심할 수 있지만, 정확한 진단과 함께 도수치료, 주사치료, 체외충격파 치료를 적절히 병행하면 수술 없이도 좋은 예후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어깨 통증을 단순한 피로나 근육통으로 여기고 방치하지 말고, 조기에 정형외과에서 정확한 평가를 받아보는 것이 회복의 지름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