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 Menu

Quick Menu

Quick Menu

의학정보

진료시간

  • 월화목금 09:00 ~ 18:30
  • 수요일 휴진
  • 토요일 09:00 ~ 12:30
  • 점심시간 12:30 ~ 14:00

일요일, 공휴일 : 휴무

02-879-2119

칼럼

  • 의학정보
  • 칼럼

제목

짚이는 곳은 괜찮은데… '어깨 통증'의 원인과 치료법은?


어깨는 팔의 움직임과 직결되는 복잡한 관절로, 반복 사용과 잘못된 동작으로 쉽게 손상될 수 있습니다. 특히 관절 속 깊은 곳에 위치한 관절와순과 이두박근 힘줄은 통증과 불안정성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부위입니다. 단순 근육통으로 오해하기 쉽지만,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면 만성화되기 쉽습니다. 다행히 대부분은 비수술적 치료와 생활 관리로 회복이 가능하므로 조기 접근이 중요합니다.

어깨 통증, 짚이는 곳과 아픈 곳 다르다면 '속' 문제 의심해야
많은 환자들이 어깨 위쪽을 짚으며 "팔을 움직일 때 아프다"고 표현합니다. 겉으로는 쇄골과 견갑골이 만나는 견쇄관절 부위처럼 보이지만, 실제 통증은 더 깊은 관절 속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관절와순이라 불리는 연골 구조가 손상되면 깊숙한 통증과 함께 어깨의 불안정성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반복적인 팔 움직임, 이두박근 힘줄이 관절와순 손상시켜
관절와순은 어깨 관절을 둘러싸고 안정성을 유지하는 연골 구조로, 마치 입술처럼 관절 가장자리를 감싸고 있습니다. 이 부위에는 팔꿈치에서 올라온 이두박근의 긴 힘줄이 붙어 있는데, 팔을 반복적으로 휘두르는 동작이나 과사용이 지속되면 힘줄이 짧아지고 뭉치면서 관절와순을 잡아당깁니다. 이 과정에서 염증이 생기면 통증이 발생하고, 반복 자극이 심하면 와순이 찢어지기도 합니다. 운동선수나 수영·야구처럼 어깨를 많이 쓰는 활동에서 이런 손상이 잦지만, 일상 생활 속 누적된 피로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어깨 속 통증, 관절와순보다 '이두박근' 관리 우선해야
환자들은 어깨를 돌릴 때 빠질 것 같다고 표현하거나, 깊은 속이 찌릿하다고 호소합니다. 겉으로는 명확한 부위가 잘 드러나지 않지만, 어깨 안쪽에서 불안정감과 뻐근함이 함께 나타납니다. 이런 증상은 단순 근육통이나 어깨 위 관절 문제와 혼동되기 쉬우므로 원인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다행히 대부분의 어깨 속 통증은 비수술적 치료로 호전될 수 있습니다. 염증과 긴장을 줄이기 위해 물리치료와 온열치료를 시행하고, 충격파 치료를 통해 이두박근 힘줄의 뭉침을 완화하면 관절와순을 당기는 힘이 줄어들면서 자연스러운 회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고주파나 레이저 치료를 병행하면 조직 재생이 촉진되어 만성 통증 개선에 효과적입니다.

또한 도수치료를 통해 주변 근육과 어깨 관절의 균형을 맞춰주면 재발 방지에도 도움이 됩니다. 중요한 것은 관절와순만을 직접 치료하기보다는 이두박근과 주변 조직을 함께 관리하는 것입니다. 그래야 관절 깊은 구조에 불필요한 자극을 줄이고 회복 환경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통증 재발 막으려면, 팔 머리 위로 드는 동작부터 줄여야
치료와 함께 생활 습관을 교정하는 것이 재발 방지에 핵심입니다. 팔을 반복적으로 머리 위로 들어 올리는 동작을 줄이고, 무거운 물건을 한쪽 어깨에만 걸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어깨 근육을 균형 있게 강화하는 가벼운 운동은 관절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어깨에 무리가 가는 동작이 반복되면 미세 손상이 쌓여 만성 통증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평소 관리가 필요합니다.

방치 시 불안정성·기능 저하… 조기 진단과 치료가 관건
어깨 통증은 단순한 근육 피로로만 보아서는 안 됩니다. 깊은 관절 구조인 관절와순과 이두박근 힘줄이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으며, 방치하면 어깨의 불안정성과 기능 저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은 비수술적 치료와 생활 습관 교정만으로도 충분히 회복할 수 있습니다. 증상이 반복되거나 점점 심해진다면 전문의를 찾아 정확한 상태를 확인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전문적인 진단과 맞춤형 치료가 필요합니다.